post by WHITEHATS
웹기반 정보보안 엔지니어 과정 160217 11번째강의 - 1
9.파일 시스템 관리
9.파일 시스템 관리 명령어 (df)
•용도
- disk free
-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 확인
- 파일 시스템에 할당된 전체 용량, 사용량, 사용 가능 용량, 사용률, 마운트 정보 등
•사용법
- [root@localhost~]# df [옵션]
기본 용량은 byte로 나온다
옵션 -h를 줘서 용량 단위를 변경해서 볼수도 있다.
옵션 -i를 주면 디스크 용량자리에 Inodes라고 있다.
inode 사용률을 나타내고 있다.
9.파일 시스템 관리 명령어 (du)
•용도
- disk usage
- 파일 및 디렉터리의 용량 확인
•사용법
- [root@localhost ~]# du [옵션] [파일 또는 디렉터리 이름]
특정디렉터리의 사용률을 보고 싶을때 사용 가능.
9.파일 시스템 관리 명령어 (fdisk)
•용도
- file system disk
- 파티션 테이블을 생성, 수정, 삭제
•사용법(현재 파일 시스템의 파티션 정보 확인)
- [root@localhost ~]# fdisk –l
•사용법(파티션 생성)
- [root@localhost ~]# fdisk [디스크 장치이름]
- windows의 diskpart처럼 디스크 관리 모드가 지원 됨
start - end로 디스크의 블럭 순서를 볼 수 있다.
fdisk 도움말..
fdisk /dev/sda의 프롬프트 로 빠질수 있다. 나갈 때는 q
9.파일 시스템 관리 명령어 (mkfs)
•용도
- 파일 시스템 생성
•사용법
- [root@localhost ~]# mkfs [옵션] [장치 이름]
•사용법(특정 파일 시스템 생성)
- [root@localhost ~]# mkfs.ext4 [옵션] [장치 이름]
9.파일 시스템 관리 명령어 (mount)
•용도
- 운영체제가 물리적인 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연결 함
- Linux OS는 모든 장치를 파일 단위로 관리하기 때문에 새로 추가된 장치는 임의의디렉터리(mount pointer)에 연결 시켜서 사용해야 함
•mount pointer
- 하드 디스크를 운영체제로 연결할 때 사용한 디렉터리
•사용법(mount 정보 확인)
- [root@localhost ~]# mount
•사용법(기본 mount)
- [root@localhost ~]# mount [장치 이름] [마운트 포인터]
•사용법(기본 mount)
-[root@localhost ~]# mount -f [파일 시스템 종류] -o [옵션] [장치 이름] [마운트 포인터]
9.파일 시스템 관리 명령어 (unmount)
•용도
- 마운트 해제
- 운영체제와 장치의 연결을 해제 함
•사용법
-[root@localhost ~]# unmount [마운트 포인터]
9.파일 시스템 관리 파일 (/etc/fstab)
•확인
- [root@localhost ~]# cat /etc/fstab
①UUID=ec78d766-639a-4c6e-80a5-627449f11768 ②/ ③ext4 ④defaults ⑤1 ⑥1
9.파일 시스템 관리 실습
1. 20G크기를 가진 하드 디스크 장착
shutdown -h now로 시스템종료
하드디스크 20gb 하나 추가한다.
그리고 putty로 root접근한다!
df로 현재 설정된 파일시스템 정보를 본다.
du로도 볼수 있다.
fdisk -l 로도 볼수 있다.
중간아래 보면 Disk /dev/sdb: 21.5를 볼 수 있다.(인식하고 있는 디스크의 정확한 정보를 볼 수 있다.) (리눅스는 순차적으로 디스크를 인식한다,, 그다음디스크는 sdc, 그다음 sdd)
m눌러준다.
2. 1번 파티션은 주 파티션 생성(8G)
n을 눌러준다. 그리고 p를 눌러준다.
1선택한다!
+8G를 입력해주면
여기서 기본 디폴트 값으로 진행한다.
3. 2번 파티션은 확장 파티션 생성(12G)
4. 논리 파티션 추가(4G)
엔터
wq누르고 종료 !
fdisk -l로 방금 만들어준 파티션을 확인할 수 있다.
5. 파일 시스템 (ext4) 설정
확장파티션은 안된다.! 논리파티션의 틀이기 때문!
6. 주 파티션은 /data1에 마운트
이동도 되고! 파일을 만들수도 있다.
lost+found는 저널링 파일이다. 파일 시스템마다 하나씩 있다!
언마운트 하면 sda에 있는 data1에 있는 111이 보이지않는다.
이것도 실습~
왜냐면 data1디렉터리에 있기 때문 최상위 ㄱㄱ
umount 시키고 data1디렉터리 확인해보니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.
다시 마운트 시키면 data1에 잇는 파일을 볼 수 있다.
7. 논리 파티션은 /data2에 마운트(읽기 전용)
mount 에 기본 옵션을 줬다. 원래 기본값은 rw이다.
읽기 전용으로 줬기 때문에 파일을 생성하지 못한다.
9.부트로더 -> 4.리눅스 부팅 상세정보 다시 확인해보자!
•부트로더(boot loader)
- 부팅 단계에서 운영체제가 실행되지 이전에 먼저 호출되는 프로그램
- 커널이 올바르게 부팅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관련 작업을 마무리하고 최종적으로운영체제를 실행시키는 동작을 수행 함
- Linux에서는 LILO(Linux Loader)와 GRUB(Grand Unified Boot loader)를 사용함
- 현재는 GRUB를 사용 함
•GRUB
- 현재 Linux의 기본 부트로더
- LILO의 단점을 보완하는 기능을 제공 함
- 메뉴 인터페이스 제공 함
- 시스템의 BIOS에서 인식하는 모든 장치(device)에 접근이 가능 함
•/etc/grub.conf
- GRUB의 환경설정 파일
- 부팅 단계에서 GRUB 프로그램이 /etc/grub.conf 파일의 내용을 읽어간 후 동작을 수행 함
9.부트로더 관리 파일 (/etc/grub.conf)
•확인
- [root@localhost ~]# cat /etc/grub.conf
vim /etc/grub.conf
•GRUB의 password 설정
- [root@localhost~]# grub-crypt [옵션]
- grub-crypt 명령에 의해 암호화된 패스워드 복사
- /etc/grub.cong 파일에 패스워드 설정
-- passwd --[암호화 방식] [복사한 패스워드]
도움말도 볼 수 있다.
암호화된 것 또한 확인!!
블록지정하면 자동복사된다.
vim /etc/grub.conf 로 간다~
vim 편집을 이용해 붙여 넣고 wq로 종료!!!
9.관리자 PASSWORD 복구
•GRUB를 이용한 복구모드
- 부팅 시 GRUB 메뉴로 이동
- 부팅을 원하는 운영체제를 선택한 후 “e” 입력
- 커널을 선택한 후 “e” 입력
- 라인의 마지막에 “single”을 입력한 후 엔터
- “b” 입력 후 부팅- 부팅 후 관리자의 password 재설정
다시부팅하고 5초내로 엔터 쳐주면 이 화면으로 갈 수 있다.
p누르고 패스워드 입력한다.
e눌러 주고!!
2번째로 옮기고 e!
관리자 계정 암호 잃어버렸을땐 ini1번 싱글 모드로 부팅한다. (이거는 일시적인 것) 수정!!!!!! single> 에 > 빼라
엔터치고 b눌러라~
passwd 로 비밀번호 바꿔줄수 있다!!!
shutdown -r now로 재부팅 해준다!!!!
하얀모자 whitehat
'▶ 웹기반 정보보안 과정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(Linux) - Permission 퍼미션 실습 1 (0) | 2016.02.19 |
---|---|
리눅스(Linux) - vi editor & 사용자 계정 관리 실습 (0) | 2016.02.18 |
160217 11번째강의 - 1 (0) | 2016.02.18 |
160216 10번째 강의 (0) | 2016.02.17 |
160215 아홉번째강의 - 2 (0) | 2016.02.16 |